EHP(미포자충) 영양 완화

EHP의 영향 완화

EHP는 포자를 형성하는 미포자충인 엔테로사이토존 헤파토페나에이(Enterocytozoon hepatopenaei)에 의해 발생한다. 이 질병은 HPM(hepatopancreatic microsporidiosisis)으로도 알려져 있다. 병원체는 포자를 통해 새우를 감염시킨다. 분변 또는 감염된 조직의 사체를 섭취하거나 물을 통해서 간접적으로 포자가 소화될 경우, 헤파토판크레아(절지동물, 연체동물의 소화 기관)와 소화관 내부 특정 유형의 세포를 감염시키고 발아한다. 포자들은 세포의 신진대사 체계를 이용하여 […]

비브리오

비브리오증은 새우 양식업자의 문제요소인가?

6년 전, 나는 비브리오 감염에 대처할 때 새우 양식업자들이 직면한 어려움을 요약한 짧은 기사를 썼다. 이 글은 업데이트된 내용이다. 양식 새우의 박테리아 감염은 매우 흔하며 양식 새우의 주요 사망 원인일 가능성이 있다. 비브리오는 확실히 사망의 주요 요인이지만 장기적으로 볼 수 있는 […]

건강한 새우를 양식하기 위하여 질병관리된 종묘를…

 

과학은 우리가 사는 세상이 어떻게 작동되는지 이해하는 것을 돕는 강력한 도구이다. 지혜롭게 사용될 때에 이러한 지식은 인류의 풍요로움에 과거에 그러했듯 미래에도 엄청난 영향을 계속해서 끼칠 것이다. 불행스러운 부분은 비전문가 외에도 수많은 과학자들조차 무엇이 진실인지 아닌지 구분하는 것이 어렵다는 점이다. 동료 심사를 거친 과학 논술지에 […]

WSSV(흰반점바이러스)의 통제가 왜 어려운 것일까?

흰반점바이러스의 영향을 받은 새우

 

흰반점바이러스가 새우 양식에 영향을 주는 것을 경험한 대부분의 양식업자들은 이 바이러스가 양식장을 며칠 사이에 완전히 파괴시킬 수 있다는 것을 잘 알 것이다. […]

WFS(White Feces Syndrome)(백변증)의 정의와 대응방법

 

양식업자들이 수년간 이따금씩 백변 현상이 목격됐다고 보고했지만, 급성 질병과 관련된 것은 불과 지난 10여년 전입니다. 이 질병의 정확한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WFS의 원인이 비브리오균이라고 주장하는 보고도 있지만, 비브리오균이 특정한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일부 불일치성이 있기는 하지만 어떤 종이 관련이 있는지 […]

Vibrio(비브리오균) 통제

비브리오균은 자연의 해양미생물 생태계 어디에나 있습니다. 비병원성인 대부분의 균주와 함께 다양한 환경을 점유하고 있습니다. 급성 질병을 유발하는 많은 균주는 기회 감염성이며 약해지고 스트레스를 받은 숙주를 이용합니다. 현재까지 110개 이상의 개별종이 확인되고 그 특성이 밝혀졌습니다. 이 독특한 종의 변종 도 수 천 가지가 넘습니다.

비브리오균은 많은 […]

EMS(조기폐사증후군)에 대한 공포

새우 양식은 절대로 쉬운 사업이 아닙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세계 생산량은 상승 추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최근 조기폐사증(EMS)나 다른 말로 급성간췌장괴사증(AHPNS)이 이슈가 되고 있습니다. 이 질병의 특징은 입식 후 최초 30일이 안된 유생 후 새우가 대량으로 피해를 입는다는 것입니다. 입식 후에는 항상 문제가 있긴 하지만 광범위한 지역에 영향을 미쳐서 심각한 […]

Go to Top